경기 안성시장 5일장 장날 날짜
경기 안성시장 5일장날 날짜 조회
경기 안성 장날 날짜 조회하기 →
안성과 안성중앙시장 이야기
안성을 떠올리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말이 바로 ‘안성맞춤’입니다. 이 표현은 안성에서 유기를 주문해 만든 것처럼 딱 들어맞는다는 의미에서 유래하였으며, 어떤 물건이나 일이 정확하게 들어맞을 때 사용됩니다.
안성은 예로부터 자연환경이 온화하고 물산이 풍부하여 사람들이 살기에 편리한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지명에도 ‘편안할 안(安)’ 자가 포함되었습니다. 조선 후기 실학자 이중환의 『택리지(擇里志)』에서도 “안성은 경기와 호남의 바닷가 사이에 위치하여 화물이 모여들고 공장과 상인들이 몰려드는 곳으로, 한양 남쪽의 중요한 도시가 되었다”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안성이 살기 좋은 곳이라는 사실은 오래전부터 이어져 왔으며, 그중에서도 안성장을 방문하면 이를 직접 체험할 수 있습니다. 안성장은 끝자리가 2와 7로 끝나는 날에 안성중앙시장 주변 200여 미터 구간에 걸쳐 형성됩니다. 과거에 비해 현대화된 분위기를 풍기지만, 여전히 따뜻한 인심이 넘치고 전통시장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곳입니다.
안성맞춤시장과 안성중앙시장은 한 거리를 중심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조선시대의 안성은 대구, 전주와 함께 ‘조선 3대 장터’로 꼽힐 만큼 번성하였으며, 충청도·전라도·경상도 등 삼남 지방에서 온 물산과 상인들이 한양으로 향하는 길목에서 머물렀습니다. 안성은 동래에서 대구를 거쳐 충주, 용인을 지나 한양으로 이어지는 영남대로와, 영암에서 나주·정읍·공주를 거쳐 수원과 한양으로 향하는 호남로가 만나는 지점이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교통의 요지로서 안성장은 전국 각지에서 온 물산이 모이는 중요한 시장 역할을 해왔으며, ‘이틀이레 안성장에 팔도 화물 벌일 렬(列)’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활발한 시장이었습니다.
또한, ‘안성장은 서울의 장보다 더 다양한 물건이 많다’는 속담이 전해질 정도로 품목이 다양하고 가격이 저렴했던 것으로 유명합니다. 『영조실록』에는 “안성장의 규모가 서울의 이현시장이나 칠패시장보다 커서 물자가 모이고, 도적들도 모여든다”라는 기록이 남아 있으며, 박지원의 소설 『허생전』에서도 주인공 허생이 서울로 유입되는 물산을 매점매석할 장소로 안성장을 선택하는 장면이 등장합니다.
안성장, 조선 3대 장터의 명성을 간직한 곳
안성맞춤의 원조라 할 수 있는 안성장은 현재 안성중앙시장 인근 서인동 한강약국 인근 도로변에서 매월 2·7·12·17·22·27일에 열립니다. 이 오일장에서는 장날마다 100여 개의 노점이 시장을 가득 메우며, 오전 10시가 되면 사람들로 북적이기 시작합니다. 수도권에서도 전통시장의 분위기를 제대로 느낄 수 있는 곳 중 하나로, 안성장은 여전히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장은 오전 10시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활기를 띠며, 특히 과거부터 우시장으로도 유명했던 만큼 소를 사고파는 거래도 이루어졌습니다. 또한, 시장 내 식당에서 매콤하고 얼큰한 국밥 한 그릇을 먹고 나면 기운이 솟는다는 말도 전해집니다.
최근의 안성중앙시장 풍경을 살펴보면, 코로나19 이후에도 여전히 시장을 찾는 사람들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시장 골목 안에는 빛바랜 건물들과 오래된 간판들이 어우러져 마치 시간 여행을 하는 듯한 느낌을 줍니다. 거리 곳곳에는 안성시의 마스코트 ‘바우덕이’ 캐릭터가 장식되어 있어 정겨운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안성중앙시장과 안성맞춤시장
안성중앙시장은 2007년 인정시장으로 지정된 상설시장으로, 오일장이 함께 열리는 곳입니다. 시장이 형성된 지 약 50년이 넘었으며, 채소·청과류·수산물·건어물·잡화 등 60여 개의 점포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시장의 대지 면적은 약 4,959㎡, 점포 면적은 3,306㎡에 달합니다.
이 시장은 과거의 안성 버스터미널을 중심으로 형성된 곳으로, 현재도 T자 형태로 200m 정도의 거리에 걸쳐 다양한 상점들이 모여 있습니다. 인근의 안성맞춤시장보다는 상대적으로 유동 인구가 많으며, 특히 먹거리가 풍부하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현재 안성의 시장들은 대형 유통업체의 등장과 젊은 층의 소비 패턴 변화로 인해 상권이 다소 위축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특히, 2008년 서인동에 있던 버스터미널이 가사동으로 이전하면서 상권이 약화되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그러나 오일장인 안성장이 꾸준히 사람들을 불러 모으며 전통시장의 명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안성시와 중앙시장상인회에 따르면, 장날이 되면 중앙시장의 유동 인구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안성맞춤시장은 수선집과 옷가게 등이 많은 반면, 안성중앙시장은 먹거리를 중심으로 한 상점들이 밀집해 있습니다. 또한, 오일장이 함께 열려 더욱 활기찬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이곳은 지역 주민들뿐만 아니라 외지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찾는 전통시장으로, 안성의 문화와 역사를 함께 경험할 수 있는 곳입니다.